자유이주(민) Free Migration, 2024-



1980년, 대청댐은 충청의 지도를 바꾸었다. 강은 막혔고 땅은 물에 잠겼다. 댐이 들어서자 사람들도 떠나야 했다. 군사정권 시절, ‘나라가 하는 일’에 저항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웠다. 충청의 사람들은 남양만 간척지, 충남북의 집단 취락지, 공단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덕유리 주민들은 포승읍 원정5리에 정착하며 고향의 느티나무를 옮겨 심었다. 떠나는 일은 타의였으나 정부는 그 과정을 ‘자유 이주’라 불렀다. 그 단어는 내게 오래된 기억의 풍경만큼이나 낯설게 다가왔다.

언론은 ‘내륙의 바다, 꿈의 만수’라는 제목으로 대청호를 홍보했다. 호반 관광지로 발전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이어졌지만, 그 선전은 실현되지 않았다. 오히려 주민들은 오랫동안 환경오염 문제에 시달렸다. 당시 언론은 수몰민들의 상실과 고통을 정면으로 다루지 않았다. 보상 제도를 언급하는 짧은 문장이 전부였다. 오랫동안 그들의 이야기는 국가 서사 속에서 지워져 있었다.

뒤늦게 드러난 수몰민들의 기억 속에는 깊은 상실감이 자리했다. 이주한 지역에 따라 경제적 격차가 벌어졌다. 수도권으로 간 이들은 개발의 여파로 땅값이 올랐지만, 간척지나 규제 지역에 남은 이들은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빈곤과 박탈에 시달렸다. 그 불평등은 폭언과 가정 내 폭력 같은 또 다른 상처로 이어졌다. ‘조국 근대화’라는 이름 아래, 이들의 삶은 대다수 국민의 행복을 위한 소수의 희생으로 취급되었다.

어렸을 적 나에게 대청호는 단순히 소풍지였다. 그러나 나중에서야 그 고요한 풍경이 수많은 상실 위에 세워진 것임을 알았다. 그때부터 풍경은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니라 어떤 공백과 함께 보이기 시작했다. 내가 바라본 고요는 사실 수몰된 마을 위에 덮인 것이었고, 내가 찍는 사진은 풍경을 기록한다기보다 어긋난 시선을 확인하는 행위였다. 풍경을 보는 나와 그 밑에 잠긴 사람들의 삶 사이에는 좁혀지지 않는 거리가 있었다. 나는 그 거리를 외면하고 싶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발걸음은 평택 포승읍으로 향했다. 대청댐 수몰민들이 이주해 정착한 곳. 지금은 평범한 마을 풍경처럼 보이지만, 그곳에도 분명히 이어져 온 시간이 있고, 잊히지 않으려는 흔적이 있었다. 대청호와 포승읍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나는 그 둘을 오가며 사진을 찍었다. 그 사이의 길 위에서 나는 늘 ‘어떻게 과거를 현재와 이어볼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품었다. 길은 단순한 이동의 통로가 아니라, 이어지지 않는 것들을 억지로라도 이어 보려는 시도의 흔적이었다.

한국의 근대화 서사는 언제나 특정한 영웅의 이름으로 정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로 그 모든 변화를 살아낸 것은 평범한 시민들이었다. 내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영웅의 이름이 아니라, 그늘에 남겨진 시민들의 삶과 흔적이다.

하지만 나는 이 역사를 대신 말할 수 없다. 수몰민들의 삶을 온전히 이해할 수도, 그들의 경험을 내 언어로 재현할 수도 없다. 사진은 나에게 어떤 무지를 드러내는 장치에 가깝다. 나는 말해야 하는 동시에 말할 수 없는 풍경 앞에 서 있다. 그 무력감 속에서 사진을 찍는 일은 여전히 계속된다. 대청호의 수면, 포승읍의 골목, 그리고 그 사이의 길은 과거와 현재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나는 그 길 위에서 여전히 머뭇거리며, 배회하고, 바라보며, 나의 말을 찾으려 한다.

In 1980, the Daecheong Dam reshaped the map of Chungcheong. The river was blocked, and the land was submerged. With the dam’s construction, people too were forced to leave. Under the military regime, it was nearly impossible to resist what was called “the work of the nation.” Communities in Chungcheong were scattered—some to the reclaimed lands of Namyang Bay, some to collective settlements in Chungnam and Chungbuk, others to industrial zones. Residents of Deogyu-ri resettled in Wonjeong 5-ri, Poseung-eup, Pyeongtaek, carrying with them a zelkova tree from their hometown. Their departure was involuntary, yet the government named it a “free migration”—a state language that concealed coercion.

The media promoted Daecheong Lake with headlines like “An Inland Sea, a Dream of Abundance.” They promised lakeside tourism and prosperity. But those promises never came true. Instead, residents suffered for decades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At the time, the press hardly addressed the loss and pain of the displaced. A brief mention of compensation policies was all. For years, their stories were erased from the national narrative.

When these stories finally surfaced, they revealed profound loss. Economic disparities widened depending on where people had resettled. Those who moved to the metropolitan area saw land values rise with development, but those in reclaimed or regulated zones fell into poverty and deprivation. Inequality translated into further wounds—verbal abuse, family violence, cycles of despair. Under the name of “national modernization,” their lives were treated as nothing more than the necessary sacrifice of a few for the happiness of the majority.

As a child, I knew Daecheong Lake only as a place for school outings. Only later did I realize that its still waters rested on the erasure of entire villages. From then on, the landscape no longer appeared simply beautiful—it carried a void. The calm I saw was a calm imposed over submerged lives. My photographs do not merely record scenery; they are an act of confronting a displaced gaze. Between my memory of the landscape and the lives buried beneath it lies a distance that cannot be closed. I do not wish to look away from that distance, but to let it remain visible within the image.

My steps naturally led me to Poseung-eup in Pyeongtaek, where many of the displaced resettled. Today it looks like any ordinary town, yet traces of continuity and unforgotten memory remain. Though Daecheong Lake and Poseung-eup are far apart, I traveled between them with my camera. On those roads I carried a constant question: How can the past be connected to the present? The road became more than a passage of movement—it became a trace of an attempt to connect what resists being joined.

The narrative of Korea’s modernization has always been told in the name of a single hero. Yet the ones who truly bore the weight of change were ordinary citizens. I want to shift attention away from the hero’s name and toward the lives and traces of those left in the shadows. Monuments and plaques, the indifferent flow of water, the present-day streets of Poseung-eup—such fragments together form a layered glimpse of that time.

Still, I cannot speak for this history. I cannot fully understand the lives of the displaced, nor can I reconstruct their experience in my own words. For me, photography becomes less a tool of representation than a device for exposing my own unknowing. To say “I do not know” may be the most honest position. Like Yun Dong-ju’s sense of shame, I too stand before landscapes that demand speech and yet resist it. Within that helplessness, I continue to take photographs.

This work does not aim to indict or to deliver solutions. It simply asks: how can the unease I felt upon facing an unfamiliar past, and the traces that remain today, be connected to the present? The surface of Daecheong Lake, the streets of Poseung-eup, and the roads between them reveal that past and present are not entirely severed. On those roads, I still hesitate, wander, and look—searching for my words.